공무원도 성과금, 상여금을 받을까?
받는다.
성과상여금제도가 있다.
기존의 본봉, 각종 수당 외 또 하나의 급여체계다.
오늘은 성과 상여 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성과상여금 지급 방법
성과상여금은 작년 1년 동안의 성과를 정리하고 평가하여 내년에 지급한다.
지급일은 보통 차년도 3월 ~ 4월이다.
일반직 공무원은 한 번에 지급하고 임기제공무원은 월별로 나눠 지급받는 것이 특징이다.
2. 지급 기준
구분 | S | A | B | C |
비율 | 20% | 40% | 30% | 10% |
지급비율 | 172.5% | 125% | 85% | 0% |
성과상여금은 등급을 매겨 지급한다.
C에서 S까지 등급을 매긴다.
이때 전부 S를 줄 수는 없으므로 어느 정도 인원 비중을 나눈다.
대학교에서 과제 점수 주는 것과 비슷하다.
100명이 있다면 S가 20명, A가 40명, B가 30명, C가 10명이다.
그래도 S와 A를 합쳐 60명이니, 지급 기준 자체는 관대하다고 볼 수 있겠다.
B에서 A, A에서 S로 넘어갈 때마다 약 40~50%의 차이가 난다.
지급기준액의 일정 퍼센트로 지급을 하는 건데..
지급기준액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공무원은 맨 위 1호에 해당한다.
7급의 경우 15호봉 기준이라고 적혀있다.
2025년 기준 봉급표를 참고하여 15호봉 금액을 보면 3,478,200원이다.
이 금액을 성과등급비율로 곱하면...
구분 | S등급 | A등급 | B등급 |
성과지급비율 | 172.5% | 125% | 85% |
성과상여금 | 5,999,890 | 4,347,750 | 2,956,470 |
대략 이 정도의 금액이 나온다.
급수가 높을수록 기준 금액이 커지므로 등급 간의 차이는 벌어지게 된다.
3. 성과 상여금 등급 잘 받는 방법
나는 임기제공무원으로 구청에서 3년간 근무한 적이 있다.
근무하면서 S등급을 받은 사람들을 지켜본 결과, S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상황이 필요하다.
1. 주요 부서
총무과, 기획실 등 흔히 말하는 주요부서에서 근무하면 성과상여금 등급이 높을 확률이 높다.
특히 단체장이 소속되어 있으며 단체장과 자주 교류하는 총무과는 평균 성과등급이 높다.
불공평하지만 현실이다.
자주 보이는 사람을 챙기는 사람의 마음이다.
2. 부서장과 가깝게 지내기
위와 비슷한 논리로, 부서장과 가까운 직원은 성과상여금 등급을 잘 받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중간관리자인 팀장들은 자주 보고하는 걸 선호한다.
작은 일도 계속 수시 보고하면서 얼굴을 비추려는 것이다.
3. 업무보단 의전
업무량이 많다거나 묵묵히 열심히 하는 스타일은 의외로 높은 등급을 받기 힘들다.
관리자들은 일이 없어도 있는 척하며 자주 어필하는 쪽에 높은 점수를 준다.
정치와 의전을 잘 해야한다.
만약 이 쪽이 약한 사람이라면 일을 적게 하고 성과상여금 등급을 낮게 받는 전략으로 가는 게 낫다.
묵묵히 열심히 해봐야 알아주지 않기 때문이다.
4. 정리
오늘은 공무원 성과 상여 금에 대해 알아보았다.
성과 상여 금은 승진과 더불어 공무원 사회에서 예민한 이슈다.
상여금 선정 결과가 나오면 자유게시판에 이런저런 글이 올라온다.
일도 안 했는데 높게 받았다는 둥, 열심히 해봐야 소용없는 둥...
나도 억울한 적이 많았다.
내가 근무했던 부서나 업무, 내 성격상 S를 받기 힘들다는 사실을 깨닫고 일을 줄이기로 결심했다.
그랬더니 그나마 덜 억울했다.
공무원인 분들도 자신이 어떤 전략을 가지고 근무를 할지 생각해 보길 바란다.
'행정의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 정부 수입인지 구매 환불 하기 (0) | 2025.04.19 |
---|---|
차용증 HWP 양식 무료 다운로드 및 쓰는 법 (0) | 2025.04.18 |
고용보험 실업급여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계산 조회 전 직장 적용 여부 (0) | 2025.04.16 |
기준 중위소득 계산 30% 50% 60% 80% 100% 120% 150% 180% 250% 금액 총정리 (1) | 2025.04.15 |
틀 맞춰진 상장 임명장 HWP 무료 양식 다운로드 (1)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