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의길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인터넷 pdf 발급방법

행길이 2025. 3. 23. 14:33
반응형

현재 재직 여부를 확인할 때 쓰는 서류 중 하나가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다.

이 서류는 무엇이고 어떻게 발급하는 걸까?

다양한 방법이 있다.

꿀팁까지 있으니 차근차근 읽어보자.

1.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란?

반응형

서류의 제목 그대로다.

건강보험의 자격 득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다.

건강보험을 직장가입자로 취득한 날짜, 직장명, 상실일, 지역가입자 취득일, 피부양자 취득일 등 건강보험의 취득과 상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직장 입사와 퇴사일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2. 발급방법

은행 등 워낙 다양한 기관에서 요구하는 서류이다 보니 이전에 비해 발급처가 다양해졌다.

우선 발급유형들을 간단히 정리한 다음 PC 발급 기준으로 설명을 하겠다.

PC 기준으로 설명하는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연번 발급방법 발급받는곳 출력형태
1 PC(인터넷) 건강보험공단, 정부24 홈페이지 PDF 파일
2 모바일 건강보험 앱 전자증명서, 팩스
3 고객센터 1577-1000 팩스
4 무인발급기 주민센터, 지하철역 무인발급기 종이 서류
5 네이버,카카오 전자증명서 네이버, 카카오 전자증명서
6 오프라인 기관 방문 건강보험공단 전국 지사 종이 서류

3. 온라인 PC 발급을 추천하는 이유

나는 PC를 사용하여 인터넷 발급할 것을 추천한다.

이유는 PDF로 저장이 가능해서 그렇다.

정부 24보다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추천한다.

가입내역을 정해서 다운로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팩스는 사용처가 제한적이고 종이서류는 온라인으로 업무를 보기가 곤란하다.

전자증명서와 정부24는 가입내역을 선택해서 인쇄할 수가 없다.

예를 들어 내가 2024년에 입사하여 2024년 말에 퇴사했고, 2025년 1월에 다른 회사에 취직했다고 가정하자.

나는 2025년 회사에 대한 자격 여부(현재)만 인쇄하고 싶어도 과거이력이 전부 뜬다.

현재 자격 여부를 확인할 목적이라면, 과거 이력을 확인하더라도 내가 보여주고 싶은 이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게 좋다.

4. 발급방법

발급방법은 PDF 파일 저장을 목표로 설명하겠다.

아래의 설명대로 차근차근 따라 해보자.

 

1.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2. 간편 인증, 공인인증 등으로 로그인을 한다.

3. 메인 페이지 "자주 찾는 서비스"에 맨 왼쪽 자격득실확인서 메뉴가 있다. 클릭하자.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인터넷 pdf 발급방법

4. 조회조건을 설정한다. 이미 아래에 이력이 나오므로 주민번호 뒷자리 표시여부만 체크하면 된다.

5. 전체내역 선택 버튼을 체크해제한 후 아래 자격득실 내역에서 내가 보여줄 득실내역에만 체크를 한다.

6. 맨 아래로 내리면 전자증명서, 팩스전송, 프린터 발급 버튼이 있다. 프린터 발급을 누른다.

7. 하나의 PDF 파일이 다운로드된다. 암호로 생년월일을 입력하면 PDF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8. 내용을 확인한 후 내용이 맞으면 인쇄버튼을 누른다.

9. 프린터 중 PDF 저장, Hancome PDF, ALPDF, EZPDF 등 PDF가 들어가 있는 프린터를 누른다.

10. 인쇄를 누르면 경로 저장 팝업창이 뜬다. 경로를 지정해 준다.

11. 저장된 PDF를 열어보면 암호 없이 PDF를 열 수 있다.

5. 정리

간단하게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방법을 알아보았다.

PDF파일로 보관하기 위하여 PC를 활용한 인터넷 발급 방법을 설명했다.

정부 24에서는 가입내역 선택이 안 되니 이 점을 기억하도록 하자.

또한 최초 PDF 파일은 암호가 걸려있어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에서 받을 시 내용을 볼 수가 없다.

위 설명에서 8번 ~ 11번 과정을 거쳐 암호 없이 PDF 내용을 확인하도록 조치를 취해주자.

인쇄물이 필요하다면 그냥 프린터로 인쇄만 하면 된다.

 

반응형